1. 프로젝트 전체에 대한 공정표를 만들었다면 공식적으로 발주자에게 제출해야 한다. 발주자가 승인하면 해당 공정표는 Baseline이 된다. 발주자가 승인하지 않았더라도 가장 초기 공식적으로 제출한 공정표는 Baseline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는 추후 Baseline으로 인지되는 공정표와의 차이를 비교할 대상이 된다.
2. SWBS와 Activity의 상세 수준이 Baselien의 역할에 부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3. Data Date가 착공 통보일(Notice-to-Proceed) 또는 그 이전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하며, Data Date 이후에 실적이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Baseline 공정표에서 가장 먼저 시작하는 Activity(시작 마일스톤)에서 가장 늦게 종료되는 Activity(완료 마일스톤)로 끝나는 **최소 하나의 연속적인 주경로(Critical Path)**가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때, 가장 긴 경로(Longest Path) 기준을 사용해야 한다.
5. 모든 Activity가 **시작 마일스톤(Start Milestone)**을 제외하고 최소 하나의 선행 작업(Predecessor)을 가지고 있으며, **완료 마일스톤(Finish Milestone)**을 제외하고 최소 하나의 후속 작업(Successor)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6. 공정표에 프로젝트/계약의 전체 범위(Full Scope)가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7. 계약 조건을 위반하는 마일스톤(날짜)가 있을 경우, 그 근거를 문서화해야 한다.
8. Baseline 공정표가 다른 측면에서 계약 조건을 위반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근거를 문서화해야 한다.
9. Baseline 공정표에 사용된 캘린더(Calendars)가 Baseline 공정표가 작성된 시점에 실제로 존재했던 비가동일을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10. Baseline 공정표에서 사용된 소프트웨어 설정(Software Settings)을 문서화하해야 한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