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M 공정표를 만들 때 Constraints는 최대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왜일까?
CPM 공정표는 이론적으로는 시작부터 완료까지 모든 액티비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선행의 지연이 후행에 영향을 줘야 하는 것이다.

CPM 공정표는 이론적으로는 시작부터 완료까지 모든 액티비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선행의 지연이 후행에 영향을 줘야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Constraints는 크게 상관없다. 일정이 지연된다면 CP에 해당하는 액티비티는 - Total Float이 나오게 될 것이다.

위와 같은 Constraints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선행작업이 지연되어도 후행작업은 지연되지 않는다. 따라서 준공의 단축/지연도 예측할 수 없다.

위와 같은 Constraints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선행작업이 지연되어도 후행작업은 당분간 지연되지 않는다. 따라서 준공의 단축/지연도 당분간 영향을 받지 않는다. 2019년 5월 1일에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단순한 목표여도 문제고, 선행 액티비티를 만들지 않아도 문제라는 것이다.

위와 같은 Constraints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다. 2019년 4월 15일에 시작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단순한 목표여도 문제고, 선행 액티비티를 만들지 않아도 문제라는 것이다.
이렇게 CPM의 중간에 CPM 이론에 영향을 주는 Constraints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이렇게 CPM의 중간에 CPM 이론에 영향을 주는 Constraints를 사용하지 말라는 것이 가장 큰 이유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