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1.1.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지침서 (이하 PnS 지침서)
1.1.1. PnS지침서 개요
1.1.2. PnS지침서의 목적
1.1.3. PnS지침서 작성 및 배포 목표
1.1.4. PnS지침서의 적용 가능성
1.1.5. PnS지침서의 개정
1.2.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기본 준비 및 가정
1.3.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범위 및 초점
1.4.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에서의 공정표 관리
1.4.1. 공정표의 종류와 이해
i. 입찰공정표
ii. 내부 목표 공정표(Target Schedule)
iii. Level 1, 2, 3 공정표
iv. Baseline Schedule(관리기준공정표)
v. Update Schedule(관리기준공정표 기준)
vi. Revision Schedule(새로운 Baseline)
vii. As-Built Schedule(완료공정표)
viii. Logic-Linked As-Built Schedule
ix. 최종공정표
1.4.2. 프로젝트의 공정표관리
1.4.3. 공정표관리가 필요한 이유
1.4.4. 공정표관리의 개요
1.4.5. 공정표관리의 목적
1.5. Scheduling 방법과 기법
2. CPM 공정관리의 기초, 기본 원칙 및 일반 원칙
2.1. CPM 공정관리의 기본 원리
2.2. Critical Path Method(CPM) – 출처 : PMBOK
2.3. CPM 공정관리의 일반 원칙
a) CPM 계산 사용
b) Datadate 개념 사용
c) Network Float의 소유권
d) Level 4 공정표와 Baseline의 Float 값
e) Critical Activity와 Critical Path Activity
f) 준공의 지연은 Critical Path가 지연될 때
g) 준공 지연의 만회는 계획이 아니라 실적으로 판단
h) 준공의 지연의 판단은 사용 가능한 모든 공정표를 고려
2.4. CPM 공정표 작성/운영의 필수 요소
2.4.1. CPM 공정표의 Activity
i. Activity의 특징:
ii. Milestone
iii. LOE(Level of Effort)
2.4.2. CPM 공정표 Activity의 기간 산정
i. Activity 기간 산정의 핵심
ii. 전문가 판단
iii. 유사산정
iv. 3점 산정(확률적 산정)
v. 유사산정과 3점 산정(PERT)의 융합
vi. 모수산정
vii. 상향식 산정법
viii. 정책적 결정
ix. 회의와 의사결정
x. 예비기간
xi. 법과 계약
2.4.3. CPM 공정표의 선후행관계
i. 선후행관계의 정의
ii. 선후행관계 종류
iii. Logic Network Diagram(LND)
iv. 선후행관계를 찾지 못할 때
v. Lead와 Lag
vi. SF 선후행관계
vii. 요약 Activity의 선후행관계
viii. Open-End
ix. Constraints
2.4.4. Calendar를 만들고 적용하는 방법
i. Calendar에 적용해야 하는 요소
ii. Calendar를 만드는 절차
iii. Calendar를 만들 때 주의사항
iv. 여러 종류의 Calendar 적용
v. 시간단위 관리
2.4.5. Total Float과 Free Float
2.4.6. Critical Path and Critical Activities
i. Critical Path(CP)
ii. Critical Activities, Critical Path Activities
2.4.7. CCM(Critical Chain Method)
2.4.8. 스케줄링 기법
i. 롤링웨이브(Rolling Wave Planning)
ii. 애자일(Agile Technique)
iii. 3Weeks Schedule
iv.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3.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작성 및 관리
3.1. 프로젝트 CPM 공정표를 작성할 때, PM의 역할
3.2. 프로젝트 공정표 관리 계획서
a) Scheduler의 투입과 책임사항
b) WBS와 SWBS
c) 스케줄링 방법
d) 공정표관리프로그램의 선택
e) 프로젝트 CPM 공정표 작성 기간과 주요 기법
f) 프로젝트 CPM 공정표에 사용되는 ID 정의
g) 프로젝트 CPM 공정표 버전 관리 방법
h) Calendar와 작업시간
i) 공정표 업데이트 주기
j) 마일스톤 및 Activity 코딩 구조
k) 자원 관리 계획
l) 공정 지표
m) 공정표의 단계
n) 지연 분석
3.3. 프로젝트 CPM 공정표 목적
3.4.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작성의 주요 단계
a) 마일스톤의 정의
b) 프로젝트 Activity의 정의
c) 선후행관계의 정의
o 2개 이상의 Calendar 사용
o Constraints의 사용
d) 각 Activity의 기간 산정(순작업일수)
o Activity의 기간 산정 방법 중 모수산정
o 프로젝트 일정에 영향을 주는 특정 자원
o 간접작업일수 적용
o 보정일수 적용
e) 프로젝트 CPM 공정표 작성 절차
o CPM과 PERT
o CP와 Total Float의 계산
f) 승인을 위한 프로젝트 CPM 공정표 작성
o 수용가능한 공정표 작성
o Crashing과 Fast Tracking
o 리소스 스무딩과 리소스 레벨링
g)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제출 및 승인
h) 프로젝트의 Baseline(승인공정표)
3.5.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유효성 평가
3.5.1. 프로젝트 CPM 공정표 필수 점검 내용
3.5.2.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평가(Acumen Fuse) – 이용규님 글 참조
i. Missing Logic
ii. Logic Density
iii. Critical Path Activity의 개수
iv. Hard Constraints
v. Negative Float
vi. Insufficient Detail
vii. Number of Lags
viii. Number of Leads
ix. Merge Hotspot
3.5.3.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평가(DCMA) – 이용규님 글 참조
i. Logic
ii. Leads
Iii. Lag
iv. FS Relations
v. Hard Constraint
vi. High Float
vii. Negative Float
viii. High Duration
ix. Invalid Dates
x. Critical Path Test
xi. CPLI (Calculation of the Critical Path Length Index)
xii. 그 외
4.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의 분류
4.1.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분류의 개요
4.2. 분류 1: 공정표작업분류체계(SWBS, Schedule Work Breakdown Structure)
4.3. 분류 2: 공정표의 단계
a)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b)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c)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d) Level 4 상세 공정표
4.4. 분류 3: Calendar
4.5. 분류 4: 일정 계산 방법
a) Retained Logic
b) Progress Override
c) Actual Dates
4.6. 분류 5: 공정관리의 시점
4.6.1. 착공 시점 혹은 새롭게 공정표를 만드는 시점
4.6.2. 업데이트 시점
i. Blindsight 방법
ii. Hindsight 방법
4.6.3. Scheduler와 스케줄 아날리스트의 시점
4.7. 분류 6: 분석 방법
4.7.1. 관찰분석법
i. 정적 관찰분석법
ii. 동적 관찰분석법
iii. 실적 기반 분석법
4.7.2. 모델 분석법
i. 모델 추가법
ii. 모델 제거법
5. 분류에 따른 운영/관리 방법
5.1. 공정표의 단계적 관리
5.1.1. 단계별 공정표 작성 순서와 운영 순서
i. (계획 수립 단계) 공정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작성되어야 한다
ii. 공정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운영/관리되어야 한다
5.1.2.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i.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목적 및 개요
ii.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작성 / 내부 승인 / 배부
iii.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발주자 제출
iv. Level 1 프로젝트 종합 공정표 업데이트
5.1.3.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i.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목적 및 개요
ii.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작성 / 내부 승인 / 배부
iii.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발주자 제출
iv. Level 2 프로젝트 요약 공정표 업데이트
5.1.4.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목적 및 개요
i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범위
ii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기능
iv.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작성기준 및 포함내용
v.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작성절차
v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검토 및 승인
vi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발주자 제출
viii.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기록
ix.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배부
x. Level 3 CPM Network 공정표 운영
5.1.5. Level 4 상세공정표
i. Level 4 상세공정표 목적
ii. Level 4 상세공정표 범위
iii. Level 4 상세공정표 기능
iv. Level 4 상세공정표 작성
v. Level 4 상세공정표 운영
5.2. 공정표작업분류체계(SWBS, Schedule Work Breakdown Structure)
5.2.1. SWBS 작성의 핵심
5.2.2. SWBS 개요
첫 번째 사례는 EPC 프로젝트의 SWBS
두 번째 사례는 C 프로젝트(시공 프로젝트)의 SWBS
5.2.3. WBS가 작성되어 있는 경우
5.2.4. WBS가 없는 경우
5.2.5. Primavera P6의 WBS
5.3. 가동률과 Calendar
5.3.1. 가동률의 정의
i. 비작업일수
ii. 중복일수
5.3.2. 가동률을 산정할 때 고려 요소
5.3.3. (공)휴일 적용 기준
5.3.4. 공종별 (공)휴일 적용 기준
5.3.5. 기상조건 적용 기준
5.3.6. 공종별 기상 조건 적용 기준
5.3.7. 기상조건의 적용과 공기연장
5.3.8. 공정표관리프로그램과 Calendar
i. 비가동일 적용 기준, Calendar 작성 및 적용
ii. 공정표관리프로그램의 일정 계산
iii. 가동률 및 Calendar를 작성할 때 유의사항
6.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과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운영
6.1. 공정관리절차서
6.2. 내부 목표 공정표(Target Schedule) vs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6.3.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의 작성/승인, 내부 목표 공정표의 관리
6.3.1. 내부 목표 공정표(Target Schedule)
6.3.2. 내부 목표 공정표와 CCM
6.3.3. 승인을 위해 제출할 공정표
6.3.4. 승인을 위한 공정표 세부 점검
6.3.5. Baseline의 제출과 승인 절차
6.3.6. Baseline(승인공정표, 관리기준공정표)
i. Baseline의 Critical Path
ii. Baseline(승인공정표) 업데이트
6.4.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업데이트
6.4.1. 프로젝트 CPM 공정표의 업데이트 개요
6.4.2. 업데이트 주기의 결정
6.4.3. 업데이트에 필요한 자료 준비
6.4.3. 공정표의 선택과 실적 자료의 유효성 평가
i. 업데이트 공정표 선택과 유효성 평가
ii. 업데이트에 사용되는 실적 정보와 유효성 평가
6.4.4.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업데이트
i.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업데이트 절차
ii. Total Float과 Free Float에 따른 관리
iii.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업데이트 보고서
6.4.5. 업데이트 공정표를 활용한 분석
i. DD 이후를 수정하지 않고 분석
ii. DD 이후를 수정한 후 분석
iii. 주요 자원의 실적을 반영한 분석
iv. 분석 결과 보고서
6.4.6. 복수의 공정표와 비교 및 차이분석
6.4.7. 대 발주자 TIA 보고서
6.6.5. 내부 목표 공정표 업데이트
6.6.6.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업데이트 vs 내부 목표 공정표 업데이트
6.6.7. 일정 리스크 시뮬레이션
6.6.8. 완료공정표 작성 (As-Built)
i. 완료공정표 작성시기
ii. 완료공정표 작성기준
iii. 완료공정표 보고서의 주요내용
iv. CAB를 위한 As-Built
6.7. 만회대책, 촉진계획 수립 및 이행
6.7.1. 만회대책, 촉진계획 수립 및 이행의 일반사항
만회대책
촉진계획
6.7.2. 공정 지연 분석
i. 승인공정표를 활용한 계약적 지연 예측
ii. 승인공정표와 승인된 변경계획을 활용한 Datadate 시점의 지연 예측
iii. 내부 목표 공정표를 활용한 지연 예측
iv. 내부 목표 공정표와 변경계획을 활용한 Datadate 시점의 지연 예측
v. 발주자의 지연 요인에 대한 지연 예측
6.7.3. 만회대책
i. 만회대책 수립 기준
ii. (계약자 사유) 만회대책 수립
iii. (발주자 사유) 만회대책 수립
iv. 만회대책의 이행
6.7.4. 촉진계획
i. 촉진계획 수립 기준
ii. 촉진계획 수립
iii. 촉진계획의 이행
6.7.5. 만회대책과 촉진계획의 검토
6.8. 결과 공유 및 보고(서)
6.9.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에 필요한 기록
6.10. 공정표 개정
7. 공정률관리 / 주요 자원 관리
7.1. 공정률관리
7.1.1. 공정률관리 일반사항
7.1.2. 공정률관리 목적
7.1.3. 공정률관리 범위
7.1.4. 공정률관리 기능
7.1.5. 계획공정률 산정
7.1.6. 실적공정률 산정
7.1.7. 공정관리 프로그램 / 실적공정률 산출시스템
7.1.8. 계획공정률과 적공정률의 비교
7.1.9. SPI, SV
7.1.10. SV를 활용한 준공 지연 판단
7.1.11. 공정률 보고
i. 발주자 보고 양식 사례
ii. 내부 보고 양식
7.2. 주요 자원 관리
7.2.1. 주요 자원 관리 일반사항
7.2.2. 주요 자원 관리 목적
7.2.3. 주요 자원 관리 범위
7.2.4. 주요 자원 관리 기능
7.2.5. 주요 자원 계획 산정
7.2.6. 실적 자원 기록
7.2.7. 계획과 실적을 활용한 단축/지연 판단
i. 미래는 계획과 동일하게 진행될 것이다.
ii. 미래는 과거 실적과 유사하게 진행될 것이다.
7.2.8. 프로젝트 라이프 사이클과 실적을 활용한 단축/지연 판단
i. 프로젝트 라이프 사이클
ii. Life Cycle로 판단한 사례
8. 공정보고 / 공정회의
8.1. 공정보고
8.1.1. 공정보고 일반사항
8.1.2. 월간현황보고서 중 공정관리 내용
8.1.3. 주간현황보고서 중 시공(작업) 현황 내용
8.1.4. 월간 공정(Schedule) 보고서
8.2. 공정회의
8.2.1. 공정회의 일반사항
8.2.2. CPM Scheduling 회의(공정회의)
i. CPM Scheduling 회의(공정회의) 자료
ii. CPM Scheduling 회의(공정회의) 개최 기준일
iii. CPM Scheduling 회의 내용
8.2.3. 발주자와 함께 진행하는 주간/월간현황회의
8.2.4. 내부 공정회의
8.2.5. 그 외의 회의
8.2.6. 공정회의에서 Scheduler의 발언 내용
마일스톤의 달성 여부
공정률
Critical Path
6.4.4. Baseline(관리기준공정표) 업데이트’ 결과
‘6.4.5. 업데이트 공정표를 활용한 분석’ 결과
‘6.4.7. 대 발주자 TIA 보고서’ 결과
BEI (Baseline Execution Index)
Missed Activities
9. 최종공정표 작성
9.1. 최종공정표 작성시기
9.2. 최종공정표 작성기준
9.3. 최종공정표 주요내용
9.4. 최종공정표 결과
9.5. 최종공정표 활용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