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정관리를 하고 싶은 이유

공정관리를 하고 싶은 이유가 뭔가요?

많은 이유가 있겠지만 냉정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많은 경우 공정관리를 할 수 있다면 프로젝트를 감시하고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그것을 할 수 있다면 상위관리자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왜냐면 감시하고 통제하는 위치는 상위에 있어야 가능한 것이고, 그것을 할 수 있다면 상위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인 듯 합니다.

이런 희망을 가지고 공정관리를 배우면 실패합니다. 이런 생각으로 공정관리를 배우면 실무를 배우는 것이 아니고, 감시하고 통제하는 방법만 배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런 자세는 혼란을 가지고 옵니다. 기초를 모르니 감시와 통제 방법을 배울 수 없고, 기초를 배우자니 본인은 기초를 하기 싫은 혼란에 빠지는 것입니다. 결국 기초를 모르고 배운 약간의 테크닉은 공정관리에 큰 도움이 되지 않고, 그 테크닉을 이용한 공정관리는 금방 밑천을 드러내게 되는 것입니다.

공정관리를 배운다고 즉시 감시와 통제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약간의 기법을 안다고 해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대단한 성과를 낼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먼 미래에 프로젝트 상위관리자가 되는 것은 지금 공정관리를 배워서 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의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프로젝트 관리 능력, 공정관리 능력, 인관관계 기술, 정치력 등 많은 경험과 지식이 필요하고, 선배, 동료외 후배들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공정관리가 중요하다고 해서 공정관리만 배운다고 그런 자리에 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여러분이 공정관리를 통해 프로젝트를 감시하고 통제하려면 누군가는 공정관리 실무 업무를 해 줘야 합니다. 공정표를 만들고 관리해야 하고, 공정률을 만들고 관리해랴 한다는 것입니다. 그 외의 다양한 공정관리를 수행하는 직원들이 있어야 여러분이 그 정보를 이용해서 감시와 통제를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은 자신은 구체적으로 배우기 싫고, 자신이 구체적으로 수행할 시간도 없고, 자신을 지원할 전문 공정관리자도 없지만 공정관리릏 통해 성과를 내고, 성공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실패하고, 좌절하여 공정관리를 포기합니다. 직급이 높은 경우라면 공정관리라는 것은 필요없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고, 직급이 낮은 경우라면 좌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사회 초년생의 경우를 살펴봐야 합니다. 공정관리를 전문으로 하고 싶어하는 초년생들이 꽤 있습니다. 이들은 공정관리자가 되기 위해 공정관리를 공부합니다. 그리고 공정관리자로 지원합니다. 그러나 불행이도 공정표와 공정률을 실제로 다뤄야 하는 시공담당자가 됩니다. 그런데 이들은 공정관리를 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공정관리 업무를 하지 않습니다. 이들이 하고 싶었던 것, 이들이 되고 싶었던 것은 무엇일까요? 이들이 하고 싶었던 것은 공정관리 업무가 아니고, 프로젝트를 감시하고 통제하는 상위관리자의 역할이었던 것입니다.

우리는 냉정하게 스스로를 돌아보고 공정관리를 시작해야 합니다.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판단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프로젝트를 앞에서 이끌고 싶다면 공정관리를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현재 한국사회라면 정치력을 키우는 것이 유리할 것 같습니다. 당연히 학벌은 필수겠죠. 다른 방법은 자신의 전공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것이 먼저입니다. 자신의 전공분야에서는 누구보다 최고가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 능력, 공정관리 능력, 정치력 등등을 키우고 20여년의 경력도 필요할 것입니다.

3~4일 배운다고 해서, 1년 정도 이론을 대충 공부한다고 해서 여러분이 꿈꾸는 공정관리를 수행하고, 프로젝트를 앞에서 이끌 수 있는 있는 것은 절대 아니라는 것입니다.

공정관리를 배우는 이유는 프로젝트의 감시와 통제가 아닙니다. 공정표와 공정률을 직접만들기 위함도 아닙니다. 실무자들이 만드는 공정표, 공정률에 공정관리 이론을 적용할 수 있게 지원하고, 각 담당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조율해줘야 합니다. 프로젝트 상위관리자들의 의지와 실무자들의 계획에 공정관리 이론을 적용하여 PERT/CPM공정표를 만들어야 합니다. 실무자들과 함께 실적 물량 관리, 실적공정률을 산정하고 추세를 판단해야 합니다. PERT CPM을 이용해서 완료일(종료일)을 예상해야 합니다. 지연이 예상된다면 원인을 찾고, 발주자 잘못이라면 클레임 부서와 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계약자 잘못이라면 해당 담당자와 함께 만회대책을 수립하고 이행해야 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

한국 건설인들이 공정관리에서 가장 혼동하는 것이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의 차이다. 즉, 공정관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건설인들은 주로 시공공정표를 만들어 왔다. 시공공정표는 본인들의 진행해야 할 작업의 착수, 완료 목표를 알려주는 공정표다. 이 공정표는 선후행관계에 의해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들의 목표를 바챠트로 그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만 있다면 작성은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세상의 중심은 자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정한 목표에 대한 선행작업들은 그 목표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 선행작업이 지연된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선행작업을 진행했어야 할 다른 직원들이 잘못인 것이었다. [그림1. 시공팀의 바챠트 공정표] 위 공정표는 분명 작성자의 의도가 숨어있을 것이다. 4월 1일에 착수해야 준공을 준수할 수 있다는 경험치가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믿도 끝도 없이 이렇게 작성해 놓으면 되는 것일까? 터파기를 착수하려면 인허가, 하청사 선정, 장비 및 인원 동원, 시공계획서 작성 및 승인 등이 되어야 할 것인데, 이 공정표를 작성한 시공담당자는 그런 일 들은 본인의 업무가 아닐 것이다. 인허가는 발주자가, 하청사 선정은 공무가, 장비 및 인원 동원은 하청사가, 시공계획서는 아래 직원이 당연히 완료해 놓아야 한다는 신념이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지연된다면 해당 담당자가 잘못한 것이지, 본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는 믿음도 있을 것이다. [그림2. 시공팀의 상세공정표] 시공담당자는 이런 상세공정표를 만들기도 한다. 위 공정표의 숨은 의도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그림3. 시공팀의 의도] 위 그림과 같이 철근의 작업조 기준으로 진행될 것을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만든 공정표 일 것이다. 시공계획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고, 시공팀의 목표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위 공정표를 CPM으로 구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림4. 시공팀의 의도와는 다른 CPM

[PK] 공정표의 활용

PMBOK 제6판 '그림 6-21. 프로젝트 일정도표 - 예'를 이용해서 공정표를 한 번 만들어 보자. 1. WBS/WBS Level 1 (프로젝트) : 신제품 Z 개발사업 WBS Level 2 (패키지) :   - 제품 개발 및 인도   - 작업패키지 1   - 작업패키지 2   - 작업패키지 3 2. Activity List PMBOK에서는 아래와 같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PMBOK 제6판 219페이지 * 위 그림에서 마지막 4번째 줄과 5번째 줄은 액티비티 이름이 바뀌었다. '1.1.3.T 구성요소 1과 2 통합완료'와 '1.1.3.M1 통합구성요서를 제품 Z로 테스트'가 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Primavera로 구현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일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PMBOK는 실적을 반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정표는 위와 같이 항상 마일스톤과 요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공정관리(공정표 관리)의 기본이다. 프로젝트의 공정표를 만들 때 액티비티를 늘리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복잡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최대 3,000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이 있다 하더라도 실적을 입력해야 하는 건 1명의 사람이다. 사람은 물리적인 시간에 구속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단순 반복 작업은 오래할 수 없는 특성도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런데 그 이상이라면? 그것은 공정표를 보지 않겠다는 의미와 같다는 것이다. "난 1만개, 2만개도 관리해 봤어"라고 말하는 건 자랑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공정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보지 않았다는 증거를 떠들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액티비티를 줄이려고 해도 한계는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공정관리를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용어] PERT/CPM

공정관리에 대한 간단한 역사와 정의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중고등학교 교육처럼 역사와 년도 등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 그러나 간단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 ​ ​1.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58 년 미해군이 폴라리스잠수함용 미사일의 개발을 관리하기 위해서 부즈알렌앤드해밀턴사가 개발했다고 합니다 .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 ​​PERT 는 액티비티의 작업시간 ( 기간 ) 을 추정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이해하세요 . 작업시간 , 즉 Original Duration 은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낙관치 (a), 정상치 (m), 비관치 (b). 이 세가지 값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을 산정하는 방식이 바로 PERT 기법입니다 . ​ * PMBOK 5 판까지 ​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 ( a + 4m + b) / 6 ​* PMBOK 6 판 ​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 ( a + m + b) / 3 ​ ​2. CPM (Critical Path Method) ​​1956 년 Dupont 사와 Remington 사가 Plant 의 설계 및 건설을 위해 공동개발했다고 합니다 .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 ​​ 확정된 공기 (Original Duration) 을 이용해서 작업간의 연관관계를 연결해주고 , 이 연관관계를 전진계산 , 후진계산을 통해 전체여유 (Total Float) 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여기서 계산된 전체여유 (Total Float) 이 0 보다 작은 경우를 Critical Path 라고 합니다 . ​ 3. PERT/CPM ​​ 즉 , 공기산정은 PERT 기법을 통해서 , 연관관계를 통한 Critical Path 는 CPM 방식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합쳐서 PERT/CPM 이라고 부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