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관리에 대한 간단한 역사와 정의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중고등학교 교육처럼 역사와 년도 등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간단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58년 미해군이 폴라리스잠수함용 미사일의 개발을 관리하기 위해서 부즈알렌앤드해밀턴사가 개발했다고 합니다.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PERT는 액티비티의 작업시간(기간)을 추정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이해하세요. 작업시간, 즉 Original Duration은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낙관치(a), 정상치(m), 비관치(b). 이 세가지 값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을 산정하는 방식이 바로 PERT 기법입니다.
* PMBOK 5판까지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 = ( a + 4m + b) / 6
* PMBOK 6판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 = ( a + m + b) / 3
2. CPM (Critical Path Method)
1956년 Dupont사와 Remington사가 Plant의 설계 및 건설을 위해 공동개발했다고 합니다.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확정된 공기(Original Duration)을 이용해서 작업간의 연관관계를 연결해주고, 이 연관관계를 전진계산, 후진계산을 통해 전체여유(Total Float)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계산된 전체여유(Total Float)이 0보다 작은 경우를 Critical Path라고 합니다.
3. PERT/CPM
즉, 공기산정은 PERT 기법을 통해서, 연관관계를 통한 Critical Path는 CPM방식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합쳐서 PERT/CPM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4. ADM (Arrow Diagram Method)
ADM공정표는 AOA (Activity on Arrow)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화살표가 액티비티가 되는 것입니다.
5. PDM (Precedence Diagram Method)
PDM공정표는 AON (Activy on Node)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노드(Node, 동그라미 혹은 바(Bar))가 액티비티가 됩니다.
6. 한국 건설현장의 PERT/CPM
PERT/CPM. 한국 건설현장에서 누군가 PERT/CPM으로 공정표를 만들라고 요구한다면 그것은 ADM형식으로 만들라는 요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90년대 초 국내 건설현장에도 본격적으로 CPM이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림1 : ADM 형식의 공정표]
위 그림과 같은 형태의 공정표로 CP를 찾는 공부를 했고, 따라서 위 공정표의 형태를 CPM공정표라고 불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림2 : PDM 형식의 공정표]
한국 사람들은 정보가 많은 것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ADM은 화살표가 액티비티이므로 한가지 표시에 액티비티, 기간, 연결관계를 전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PDM은 바(Bar)를 보고 액티비티와 기간을 확인하고, 연결은 화살표로 봐야하니 복잡하다고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