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용어] PERT/CPM

공정관리에 대한 간단한 역사와 정의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중고등학교 교육처럼 역사와 년도 등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나 간단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58년 미해군이 폴라리스잠수함용 미사일의 개발을 관리하기 위해서 부즈알렌앤드해밀턴사가 개발했다고 합니다.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PERT는 액티비티의 작업시간(기간)을 추정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이해하세요. 작업시간, Original Duration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낙관치(a), 정상치(m), 비관치(b). 이 세가지 값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을 산정하는 방식이 바로 PERT 기법입니다.

* PMBOK 5판까지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 = ( a + 4m + b) / 6

​* PMBOK 6

기대시간(Original Duration) = ( a + m + b) / 3

​2. CPM (Critical Path Method)

​​1956 Dupont사와 Remington사가 Plant의 설계 및 건설을 위해 공동개발했다고 합니다.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확정된 공기(Original Duration)을 이용해서 작업간의 연관관계를 연결해주고, 이 연관관계를 전진계산, 후진계산을 통해 전체여유(Total Float)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서 계산된 전체여유(Total Float) 0보다 작은 경우를 Critical Path라고 합니다.

3. PERT/CPM

​​, 공기산정은 PERT 기법을 통해서, 연관관계를 통한 Critical Path CPM방식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합쳐서 PERT/CPM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4. ADM (Arrow Diagram Method)

​ADM공정표는 AOA (Activity on Arrow)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화살표가 액티비티가 되는 것입니다.

5. PDM (Precedence Diagram Method)

​PDM공정표는 AON (Activy on Node) 방식으로 작성됩니다. 노드(Node, 동그라미 혹은 바(Bar))가 액티비티가 됩니다.

6. 한국 건설현장의 PERT/CPM

​PERT/CPM. 한국 건설현장에서 누군가 PERT/CPM으로 공정표를 만들라고 요구한다면 그것은 ADM형식으로 만들라는 요구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90년대 초 국내 건설현장에도 본격적으로 CPM이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림1 : ADM 형식의 공정표]

 

위 그림과 같은 형태의 공정표로 CP를 찾는 공부를 했고, 따라서 위 공정표의 형태를 CPM공정표라고 불렀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그림2 : PDM 형식의 공정표]

 

한국 사람들은 정보가 많은 것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ADM은 화살표가 액티비티이므로 한가지 표시에 액티비티, 기간, 연결관계를 전부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PDM은 바(Bar)를 보고 액티비티와 기간을 확인하고, 연결은 화살표로 봐야하니 복잡하다고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K] 공정표의 활용

PMBOK 제6판 '그림 6-21. 프로젝트 일정도표 - 예'를 이용해서 공정표를 한 번 만들어 보자. 1. WBS/WBS Level 1 (프로젝트) : 신제품 Z 개발사업 WBS Level 2 (패키지) :   - 제품 개발 및 인도   - 작업패키지 1   - 작업패키지 2   - 작업패키지 3 2. Activity List PMBOK에서는 아래와 같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PMBOK 제6판 219페이지 * 위 그림에서 마지막 4번째 줄과 5번째 줄은 액티비티 이름이 바뀌었다. '1.1.3.T 구성요소 1과 2 통합완료'와 '1.1.3.M1 통합구성요서를 제품 Z로 테스트'가 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Primavera로 구현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일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PMBOK는 실적을 반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정표는 위와 같이 항상 마일스톤과 요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공정관리(공정표 관리)의 기본이다. 프로젝트의 공정표를 만들 때 액티비티를 늘리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복잡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최대 3,000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이 있다 하더라도 실적을 입력해야 하는 건 1명의 사람이다. 사람은 물리적인 시간에 구속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단순 반복 작업은 오래할 수 없는 특성도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런데 그 이상이라면? 그것은 공정표를 보지 않겠다는 의미와 같다는 것이다. "난 1만개, 2만개도 관리해 봤어"라고 말하는 건 자랑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공정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보지 않았다는 증거를 떠들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액티비티를 줄이려고 해도 한계는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공정관리를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

한국 건설인들이 공정관리에서 가장 혼동하는 것이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의 차이다. 즉, 공정관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건설인들은 주로 시공공정표를 만들어 왔다. 시공공정표는 본인들의 진행해야 할 작업의 착수, 완료 목표를 알려주는 공정표다. 이 공정표는 선후행관계에 의해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들의 목표를 바챠트로 그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만 있다면 작성은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세상의 중심은 자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정한 목표에 대한 선행작업들은 그 목표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 선행작업이 지연된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선행작업을 진행했어야 할 다른 직원들이 잘못인 것이었다. [그림1. 시공팀의 바챠트 공정표] 위 공정표는 분명 작성자의 의도가 숨어있을 것이다. 4월 1일에 착수해야 준공을 준수할 수 있다는 경험치가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믿도 끝도 없이 이렇게 작성해 놓으면 되는 것일까? 터파기를 착수하려면 인허가, 하청사 선정, 장비 및 인원 동원, 시공계획서 작성 및 승인 등이 되어야 할 것인데, 이 공정표를 작성한 시공담당자는 그런 일 들은 본인의 업무가 아닐 것이다. 인허가는 발주자가, 하청사 선정은 공무가, 장비 및 인원 동원은 하청사가, 시공계획서는 아래 직원이 당연히 완료해 놓아야 한다는 신념이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지연된다면 해당 담당자가 잘못한 것이지, 본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는 믿음도 있을 것이다. [그림2. 시공팀의 상세공정표] 시공담당자는 이런 상세공정표를 만들기도 한다. 위 공정표의 숨은 의도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그림3. 시공팀의 의도] 위 그림과 같이 철근의 작업조 기준으로 진행될 것을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만든 공정표 일 것이다. 시공계획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고, 시공팀의 목표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위 공정표를 CPM으로 구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림4. 시공팀의 의도와는 다른 C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