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정관리와 생산성

공정관리를 잘 모르는 건설인들은 생산성이 공정관리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한다. 이건 큰 착각이다. 생산성이 공정관리의 일부일 수는 있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너무도 많다.

일부 건설인들은 왜 생산성이 공정관리라고 생각할까? 왜 생산성을 공정관리자가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할까?

공정관리를 잘 모르는 일반 건설인때문만은 아니다. 그들의 말에 휘둘려서 단순한 보고서 업무 위주의 공정관리를 수행하는 공정관리자들의 잘못도 있다.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공정관리자의 업무는 공정표, 공정률, 공정보고서, 공정회의가 있다. 특히 한국 건설회사는 이 4가지는 공정관리자가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 이 4가지 업무가 공정관리자의 업무라고 생각할까? 의외로 해답은 간단하다.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공정표'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가 있다. 계획 공정표는 만들기가 쉽지 않고, 설명 만든다고 하더라도 계속 틀려진다. 따라서 공정관리자의 몫이다.

'공정률'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가 있다. 계획 공정률을 만들기도 어렵고, 매주 혹은 매월 실적 공정률을 산정하는 것도 어렵다. 따라서 공정관리자의 몫이다.

'공정보고서'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가 있다. 작성은 어렵지 않지만, 각 담당자의 모든 업무를 취합해야 하는 귀찮은 업무다. 한다고 해서 딱히 성과가 나온다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공정관리자의 몫이다.

'공정회의'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가 있고, 회의 자료 작성은 매우 귀찮은 일이다.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고 회의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편집해야 하는 일이다. 따라서 '공정회의 자료 작성'은 공정관리자의 몫이다. 그러나 회의 운영은 다르다. 회의 참석자들의 잘못을 지적하고, 보고를 받는 입장이라면 공정관리자에게 주지 않는다. 반대로 잘못에 대한 대책을 답변하고, 보고를 하는 입장이라면 공정관리자의 몫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다.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간 경우 중 귀찮은 업무는 공정관리자의 몫으로 돌리는 경우가 많고,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간 경우에도 권한이 생기는 업무는 거의 공정관리자에게 주지 않는다.

공정관리자가 근무하는 한국 건설회사의 현장에서 공정관리자들은 대부분 '공정보고서'를 작성한다. 주간/월간공정보고서를 작성하고 있다. 이들 중 많은 경우는 '작업일보'도 작성하고 있다. '작업일보'에는 '공정'이라는 글짜가 없지만, 작성하는 방법, 형식이 주간/월간공정보고서와 비슷하고, 작성이 귀찮다는 이유로 공정관리자의 몫으로 돌리고 있다.

주간/월간공정보고서와 작업일보의 특성을 알 필요가 있다. 그 보고서의 주요 내용은 프로젝트의 기록이다. 작업내용과 물량을 기록한다. 또한 사진을 첨부하는 경우도 많다. 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사람의 가장 큰 역할은 '기록'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를 작성하는 공정관리자는 '기록'을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공정관리 = 기록

 

'공정관리=기록'이라는 인식은 이런 과정을 통해 생겼을 것이다. 따라서 공정관리자는 '기록'을 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한국 건설인들의 기본적인 생각으로 고정되어 있다. '기록' 중 일부인 '사진촬영'도 공정관리자가 해야 한다는 인식은 이런 과정을 통해 생겨난 것이다. "주간/월간공정보고서도 안쓰고, 작업일보도 안쓰고, 사진촬영도 안하면, 공정관리자가 뭘하게?"라는 말을 들을 수도 있다. 프로젝트 초기에 이 말을 들을 수 있다. 아직 공정관리자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건설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이런 말을 듣고 있다면, 공정관리자가 공정관리 업무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이제 생산성으로 넘어가보자. 생산성의 기본은 기록이다. 그러면 누가 해야 할까? 당연히 기록은 '공정관리자'의 몫이라고 생각하고, 공정관리자에게 시키는 것이다. 또 생산성은 작업 기간의 산정 근거가 된다는 것이 한국 건설인들의 생각이다. 예를 들어서 50,000m3의 터파기의 기간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생산성이 있어야 한다. 장비의 조합, 운반거리에 따라 다르지만, 그것을 계산해서 산정한 생산성이 1 1,000m3이라면 해당 작업은 50일이 소요되는 것이다. 용접공의 생산성이 1 10DI이고, 용접팀이 3팀이 있다면, 3,000DI를 시공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100일이 필요하다는 계산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생산성이 있고, 물량이 있으면 기간을 산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계산방식은 공정관리가 아니다. 예산을 산정하는 방식에 가깝다. 공정관리는 작업의 대표물량에 대한 생산성으로 대표물량에 대한 작업 기간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다. 액티비티를 만들고, 액티비티의 공기(Original Duration)을 정하고, 선후행관계를 FS, FF, SS 중 하나를 결정하고, 해당 액티비티의 Calendar를 정의하는 것이다. 작업과 액티비티가 유사하고, 작업의 대표물량에 대한 작업조를 산정하고, 기간을 만드는 방법과 액티비티의 Original Duration을 만드는 방법 중의 일부와 비슷하기 때문에 착각을 하고 있는 것 뿐이다.

먼저 공정관리자는 프로젝트의 실적 정보를 단순하게 '기록'하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이다. 공정관리 뿐 아니라 대부분의 업무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기록'이라는 것을 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사진촬영'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시공에서도 '사진촬영'을 하고, 안전에서도 '사진촬영'을 한다. 이런 기록하는 행위는 공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보조수단일 뿐 주 업무가 아닌 것이다. 공정관리자가 기록해야 할 중요한 내용은 승인공정표에 대한 기록이다. 그 중 액티비티의 실적 날짜를 기록해야 한다. 각 액티비티의 실제 시작일, 실제 종료일을 잘 기록해야 한다. 그 다음은 각 액티비티의 선후행관계이다. 승인공정표의 선후행관계가 변경되었다면, 사유와 실제 선후행관계를 기록해놓아야 한다. 2가지 기록을 증명하기 위한 보조 기록이 필요할 수도 있지만, 그 보조 기록(사진촬영 등)은 어디까지나 보조 기록일 뿐이다. 이런 정보는 담당자들에게 당연히 제공받아야 한다. 공정관리자가 현장을 돌아다니며 실적 정보를 찾는다는 것은 그 이후의 공정관리 업무를 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 실적 정보를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모르고 있다는 의미라는 것이다. 주간/월간공정보고서, 작업일보를 뒤져서 실적 정보를 찾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한국 건설인들이 생각하는 실적 정보는 대부분이 작업 물량이다. 작업 물량도 공정관리에 활용을 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실적 정보는 승인공정표 액티비티의 실제 시작일, 실제 종료일, 진행된 선후행관계에 대한 로직이다. 담당자들에게 실적 정보를 달라고 하면, 대부분은 실적 물량을 준다. 혹은 작업일보에 다 있다고 말한다. 실적 물량은 승인공정표의 Scheduling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정보는 아니고, 작업일보에 나와 있는 실적 정보 역시도 승인공정표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담당자들에게 공정관리에 대해 설명하고, 실제 시작일과 실제 종료일, 진행 중인 액티비티에 대한 잔여일을 달라고 해야 한다. 강조하지만 이런 실적 정보는 담당자들이 챙겨야 하는 것이고, 공정관리자는 이런 정보를 이용해서 일정의 단축 지연에 대해서 판단을 해야 하는 것이다.

담당자가 제공한 실적정보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작성되어 있는 주간/월간공정보고서를 참고하고, 현장을 확인하고,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필요하다면 작성되어 있는 작업일보를 참고할 수도 있는 것이다. 공정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참고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주간/월간공정보고서, 작업일보다. 참고자료를 활용하는 것이지 직접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런 보고서를 다 작성하면서 그 이외의 공정관리 업무를 다 수행할 수 있다면, 실적 취합 이외의 공정관리 업무가 무엇인지 모르거나, 아니면 물리적인 시간을 뛰어 넘는 능력을 갖춘 공정관리자일 것이다.

생산성 정보가 공정관리의 근본이라고 치자. 작업의 기간을 산정하기 위해서 생산성이 필요하다고 치자. 작업의 기간과 액티비티의 공기(Original Duration)이 동일하다고 치자. 우리 회사는 표준생산성 정보를 가지고 있다고 치자. 그렇다면 이 생산성을 가지고 작업 혹은 액티비티의 기간을 산정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회사의 표준생산성 중 터파기는 1개 작업조가 1 1,000m3을 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특정 프로젝트의 터파기 총 물량은 50,000m3이라면, 해당 프로젝트의 터파기 기간을 얼마일까? 작업조를 몇개조로 진행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1개 작업조로 한다면 50일이 걸릴 것이고, 2개 작업조로 한다면 25일이 걸릴 것이다. 10개 작업조로 한다면 5일이면 끝날 것이다. , 생산성이 있어도 작업조가 몇개조로 진행할 것인가에 따라 기간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내가 권한이 있다면 3개 작업조로 진행해서 5일만에 끝내라고 지시할 것이다. 이렇게 지시를 받은 경우 현장팀에서는 불가능하다고 말할 것이다. 퍼파기의 생산성은 운반거리에 따라 다르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고, 한 장소에서 계속 작업을 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할 것이다. 어떤 터파기 작업은 1개 작업조가 진행해야 하고, 어떤 터파기 작업은 2개 작업조가 진행할 수도 있다고 말할 것이다. 또 병행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A 터파기가 끝나고 B 터파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렇게 프로젝트의 전체 물량이 아니고, 액티비티로 구분해서 기간을 산정하려면, 각 액티비티에 해당하는 물량을 산정해야 하고, 각 액티비티에 투입되는 작업조를 정해야 한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는 식의 작업계획으로는 기간을 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용접공의 생산성은 1 10DI이다. 3,000DI를 하기 위해서는 며칠의 기간이 필요할까? 1개 작업조라면 300, 3개의 작업조라면 100일이 필요하다고 말할 것이다. 그런데 중요한 건 용접사의 생산성이 아니다. 용접사가 하루에 10DI를 할 수 있는 배관이 원활하게 공급된다는 조건이 감춰져 있는 것이다. 배관 용접의 생산성은 용접사의 생산성도 중요하지만, 배관의 원활한 공급이 훨씬 더 중요하다. 배관의 공급은 어떤 생산성으로 계산해야 할까?

또 다른 예를 들어보자. 액티비티는 'Foundation'이다. 크기는 10*10*3으로 되어 있다. 아직 설계가 확정되지 않아 철근 수량은 정해지지 않았다. 이 액티비의 공기(OD)는 어떻게 산정해야 할까? 철근공의 표준생산성, 목수의 표준생산성, 콘크리트공의 표준생산성이 있으면 이 액티비티의 공기를 산정할 수 있을까? 설계가 확정되어 이 액티비티에 포함된 물량이 확정되었다면 정확한 공기를 생산성으로 산정할 수 있을까?

표준생산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각 액티비티의 물량을 다 알고 있어야 하고, 각 액티비티에 투입되는 작업조를 정해야 한다. 작업조가 한 개의 액티비티만 수행할 것인지, 2개 이상을 병행해서 진행할 것인지? 1.34개를 수행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여러분들이 공정관리를 수행하고, CPM 공정표를 만들고, 발주자와 협상을 위한 공정표를 만들면서, 설계, 시공, 공무와 각 액티비티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눠보면 왜 표준생산성이라는 것이 의미가 없는지 알게 될 것이다. 한 개의 액티비티에 대한 정의가 각각 다르다. 약티비티의 의미가 다르다는 것은 포함된 물량을 다르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고, 물량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으면 표준생산성이 있어도 생산성 기준으로는 공기를 산정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 이런 프로젝트에서는 표준생산성을 이용해서 공기를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계, 시공, 공무, 공정 담당자가 모여서 액티비티의 의미에 대해서 합의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합의도 보지 못하는 프로젝트에서 표준생산성을 말하지 않았으면 한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PK] 공정표의 활용

PMBOK 제6판 '그림 6-21. 프로젝트 일정도표 - 예'를 이용해서 공정표를 한 번 만들어 보자. 1. WBS/WBS Level 1 (프로젝트) : 신제품 Z 개발사업 WBS Level 2 (패키지) :   - 제품 개발 및 인도   - 작업패키지 1   - 작업패키지 2   - 작업패키지 3 2. Activity List PMBOK에서는 아래와 같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PMBOK 제6판 219페이지 * 위 그림에서 마지막 4번째 줄과 5번째 줄은 액티비티 이름이 바뀌었다. '1.1.3.T 구성요소 1과 2 통합완료'와 '1.1.3.M1 통합구성요서를 제품 Z로 테스트'가 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Primavera로 구현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일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PMBOK는 실적을 반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정표는 위와 같이 항상 마일스톤과 요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공정관리(공정표 관리)의 기본이다. 프로젝트의 공정표를 만들 때 액티비티를 늘리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복잡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최대 3,000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이 있다 하더라도 실적을 입력해야 하는 건 1명의 사람이다. 사람은 물리적인 시간에 구속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단순 반복 작업은 오래할 수 없는 특성도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런데 그 이상이라면? 그것은 공정표를 보지 않겠다는 의미와 같다는 것이다. "난 1만개, 2만개도 관리해 봤어"라고 말하는 건 자랑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공정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보지 않았다는 증거를 떠들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액티비티를 줄이려고 해도 한계는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공정관리를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

한국 건설인들이 공정관리에서 가장 혼동하는 것이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의 차이다. 즉, 공정관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건설인들은 주로 시공공정표를 만들어 왔다. 시공공정표는 본인들의 진행해야 할 작업의 착수, 완료 목표를 알려주는 공정표다. 이 공정표는 선후행관계에 의해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들의 목표를 바챠트로 그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만 있다면 작성은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세상의 중심은 자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정한 목표에 대한 선행작업들은 그 목표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 선행작업이 지연된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선행작업을 진행했어야 할 다른 직원들이 잘못인 것이었다. [그림1. 시공팀의 바챠트 공정표] 위 공정표는 분명 작성자의 의도가 숨어있을 것이다. 4월 1일에 착수해야 준공을 준수할 수 있다는 경험치가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믿도 끝도 없이 이렇게 작성해 놓으면 되는 것일까? 터파기를 착수하려면 인허가, 하청사 선정, 장비 및 인원 동원, 시공계획서 작성 및 승인 등이 되어야 할 것인데, 이 공정표를 작성한 시공담당자는 그런 일 들은 본인의 업무가 아닐 것이다. 인허가는 발주자가, 하청사 선정은 공무가, 장비 및 인원 동원은 하청사가, 시공계획서는 아래 직원이 당연히 완료해 놓아야 한다는 신념이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지연된다면 해당 담당자가 잘못한 것이지, 본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는 믿음도 있을 것이다. [그림2. 시공팀의 상세공정표] 시공담당자는 이런 상세공정표를 만들기도 한다. 위 공정표의 숨은 의도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그림3. 시공팀의 의도] 위 그림과 같이 철근의 작업조 기준으로 진행될 것을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만든 공정표 일 것이다. 시공계획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고, 시공팀의 목표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위 공정표를 CPM으로 구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림4. 시공팀의 의도와는 다른 CPM...

공정관리와 Fragnet

Fragnet?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이 단어는 무슨 의미일까요? 이 단어를 처음 본 것은 P3(Primavera Project Planner)를 사용할 때 였습니다. P3의 Fragnet 잘 사용하는 기능이 아니었기 때문에 기능이 있다는 것은 알았지만 Fragnet이라는 단어는 기억 깊은 한 구석에 있는 단어일 뿐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EOT 클레임에서 종종 사용되는 단어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P3의 Fragnet은 어떤 기능이었을까요? 반복적인 일정이 있다면 Fragnet으로 저장해 놓고 꺼내 쓰는 기능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A-B-C가 FS로 연결되어 있고, 종종 사용한다면 Fragnet으로 저장해놓고, 사용이 필요할 때 불러오면 됩니다. P6에서는 Copy, Paste로 할 수 있어서인지 Fragnet 기능이 사라졌습니다. 이런 기능이라는 것을 이해하고, Fragnet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유추해보면 '단위 일정' 혹은 '단위 공정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EOT 클레임에서도 Sub-Network과 Fragnet을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EOT 클레임이 부각되면서 Fragnet이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해외에서는 계속 써왔는데, 국내에서 EOT 클레임이 부각되면서 쓰기 시작했을 수도 있고요. 어쨌든 Fragnet은 특정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에 대한 단위공정표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승인공정표는 관리 가능한 수준에서 액티비티를 만들게 됩니다. 무조건 상세하게 만드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발주자 지연 요인'이 발생했을 때 승인공정표로는 상세한 설명이 어렵고, 증명할 자료로 사용하기에 불충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상세한 설명을 하기 위한 공정표가 바로 Sub-Network(Fragnet이라고도 불림)을 만들어서 설명을 하는 것입니다. 만들었다면 업데이트할 때 승인공정표에 포함하여 발주자에 공기연장에 대한 증거서류로 제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