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정관리의 성공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20여년간 건설프로젝트의 공정관리를 수행하면서, 수많은 프로젝트의 공정관리에 대한 흥망성쇠를 지켜봤다. .간접적으로 많은 프로젝트의 사례를 보고, 듣어 본 결과 '왜 공정관리에 성공하는 프로젝트가 있고 실패하는 프로젝트가 있는 걸까?'라는 의문을 갖고 나름대로 분석을 해 봤다.

공정관리를 우습게 알고 접근하는 경우, 자신은 공정관리를 잘 할 수 있다는 막연한 자신감, 공정공사비 통합관리부터 시작하려고 하는 경우, 공정관리자를 신입사원 혹은 현채직으로 채용하는 경우, 공정관리자는 모든 것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우 등 실로 수 없는 망하는 이유가 있다.

그 많은 이유 중에서도 공정관리자를 신입사원 혹은 현채직으로 채용하는 경우에 망한 사례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정관리자라는 직종이 없을 때는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수행했고, 나름 공정관리라는 업무를 수행했었다고 자부하는데, 공정관리자를 채용하여 운영하면서 부터 공정관리에 실패했다고 말하는 프로젝트는 꽤 많다.

공정관리자가 없는 프로젝트에서는 소장부터 신입사원까지 모두가 일정계획을 수립하고, 바챠트로 공정표를 만들고, 어떻게든 공정률을 산정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지연이 발생하면 시공 전문가들이 모여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실행을 하면서 만회를 해왔다. 서로 책임을 미루기 보다는 스스로 한 걸음 더 움직이면서 프로젝트의 지연을 최소화했던 것이다. 이런 과정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시공 전문가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나름 공정관리라는 분야도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했던 것이다.

나름 성공적인 프로젝트가 많아지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프로젝트에 투입인원은 줄이고, 업무를 세분화하기 시작했다. 나름 전문가 스러운 이름을 붙여주면서 시공기사, 품질기사는 없어지고, 시공 전문가나 품질관리자, 공정관리자라는 그럴싸한 명함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전문가스러운 이름을 붙여줬으므로, 업무도 전문가처럼 수행하길 요구하기 시작한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원가는 최소화하기 위해 신입사원이나 현채(현장채용직)으로 인원을 채우기 시작했다. 공정관리자. 이름은 공정관리 전문가를 의미하지만, 공정관리에 대해 전혀 모르는 신입사원 혹은 신입급의 현채직 사원이 공정관리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공정관리자는 스스로 뭘 해야할지 판단하지 못하나, 결국 공정관리를 잘 모르는 선배들의 주장에 휘둘리면서 엉터리 공정관리를 수행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실패 사례는 '공정'이라는 글짜가 들어간 모든 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이다. 주간공정보고서, 월간공정보고서는 대표적으로 공정관리자가 수행하는 업무가 됐다. 업무 방법과 보고서의 형식이 비슷하다는 이유로 작업일보도 공정관리자의 몫으로 돌아오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런데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는 경우가 많다. 공정보고서나 작업일보는 실적을 '기록'하는 문서다. 그런 의미에서 공정관리는 '기록'이라는 의미가 되고, 프로젝트의 모든 기록은 공정관리자의 몫이 되는 경우는 너무도 많다. 또한 '기록=사진'이라는 의미도 있으므로, 사진 촬영도 공정관리자가 해야 한다는 인식은 대부분의 건설인들의 생각이다.

바챠트로 운영하는 방식에서 '공정관리자'를 채용했으니, 전문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CPM이론을 도입하고, 공정-공사비를 통합해서 운영해야 한다는 생각도 많은 건설인들의 공통적인 생각이다. 프로젝트의 수준은 바챠트 수준에 머물고 있는데, 공정관리자 한 명을 채용했다고 갑자기 CPM공정표를 만들고 운영할 수 있다는 건 착각이다. 더군다나 채용한 공정관리자는 공정관리라는 업무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신입인 경우가 많은 것은 공정관리를 실패할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프로젝트의 모든 조건은 공정관리를 실패할 조건을 갖추고 있고, 결국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공정관리를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전문적인 공정관리를 수행하기 위해 도입한 공정관리와 공정관리자가 오히려 프로젝트의 공정관리를 실패하게 만드는 주요 원인이라는 것이다.

공정관리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공정관리자를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의 수준을 올려야 하는 것이다. 직원들 스스로가 자신의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CPM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공정표를 만들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WBS, 가동률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하고, PERT에 대한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 공정관리자가 본인들이 하기 귀찮아 하는 보고서를 작성해주는 사람이 아니라, 공정관리라는 전문 분야의 업무를 수행한다는 인식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신입사원급을 채용하여 공정관리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지시하는 잡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공정관리 전문가를 투입하여 공정관리 업무를 수행하게 해야 하는 것입니다. 공정관리 전문가는 설계, 구매, 시공, 시운전에 대한 어설픈 지식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니고, 공정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입니다.

작은 규모든 큰 규모든 프로젝트 공정관리 업무는 쉽지 않습니다. 공정관리에 성공하고 싶다면, 전문가를 투입해야 합니다. 공정관리 전문가는 프로젝트에 상주하면서 직원들과 소통하고, 직원들의 일정 계획에 대해 같이 고민하고, 계획과 실적의 차이에 대해 함께 토론/토의해 나가야 합니다. 공정표를 만들어 줄 수도 있지만, 담당자 스스로가 공정표를 만들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런 공정관리자가 없다면 프로젝트의 공정관리는 성공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

한국 건설인들이 공정관리에서 가장 혼동하는 것이 상세공정표와 CPM 공정표의 차이다. 즉, 공정관리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건설인들은 주로 시공공정표를 만들어 왔다. 시공공정표는 본인들의 진행해야 할 작업의 착수, 완료 목표를 알려주는 공정표다. 이 공정표는 선후행관계에 의해 작성되는 것이 아니라, 본인들의 목표를 바챠트로 그리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목표만 있다면 작성은 어렵지 않았다. 그리고 세상의 중심은 자신이기 때문에 자신이 정한 목표에 대한 선행작업들은 그 목표에 맞게 진행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 선행작업이 지연된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선행작업을 진행했어야 할 다른 직원들이 잘못인 것이었다. [그림1. 시공팀의 바챠트 공정표] 위 공정표는 분명 작성자의 의도가 숨어있을 것이다. 4월 1일에 착수해야 준공을 준수할 수 있다는 경험치가 반영되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믿도 끝도 없이 이렇게 작성해 놓으면 되는 것일까? 터파기를 착수하려면 인허가, 하청사 선정, 장비 및 인원 동원, 시공계획서 작성 및 승인 등이 되어야 할 것인데, 이 공정표를 작성한 시공담당자는 그런 일 들은 본인의 업무가 아닐 것이다. 인허가는 발주자가, 하청사 선정은 공무가, 장비 및 인원 동원은 하청사가, 시공계획서는 아래 직원이 당연히 완료해 놓아야 한다는 신념이 있을 것이다. 그 중 하나가 지연된다면 해당 담당자가 잘못한 것이지, 본인이 잘못한 것이 아니라는 믿음도 있을 것이다. [그림2. 시공팀의 상세공정표] 시공담당자는 이런 상세공정표를 만들기도 한다. 위 공정표의 숨은 의도는 아래와 같을 것이다. [그림3. 시공팀의 의도] 위 그림과 같이 철근의 작업조 기준으로 진행될 것을 긍정적으로 예상하고 만든 공정표 일 것이다. 시공계획에서는 이런 식으로 만들 수 있고, 시공팀의 목표로 진행하는 것에 대해서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위 공정표를 CPM으로 구성한다면 아래와 같이 만드는 것이 좋다. [그림4. 시공팀의 의도와는 다른 CPM

[PK] 공정표의 활용

PMBOK 제6판 '그림 6-21. 프로젝트 일정도표 - 예'를 이용해서 공정표를 한 번 만들어 보자. 1. WBS/WBS Level 1 (프로젝트) : 신제품 Z 개발사업 WBS Level 2 (패키지) :   - 제품 개발 및 인도   - 작업패키지 1   - 작업패키지 2   - 작업패키지 3 2. Activity List PMBOK에서는 아래와 같은 예를 보여주고 있다. PMBOK 제6판 219페이지 * 위 그림에서 마지막 4번째 줄과 5번째 줄은 액티비티 이름이 바뀌었다. '1.1.3.T 구성요소 1과 2 통합완료'와 '1.1.3.M1 통합구성요서를 제품 Z로 테스트'가 서로 이름이 바뀌었다. Primavera로 구현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 일정도를 표시하기 위해 PMBOK는 실적을 반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정표는 위와 같이 항상 마일스톤과 요약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을 공정관리(공정표 관리)의 기본이다. 프로젝트의 공정표를 만들 때 액티비티를 늘리는 것은 좋지 않다. 아무리 복잡한 프로젝트라 하더라도 최대 3,000개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프로그램이 있다 하더라도 실적을 입력해야 하는 건 1명의 사람이다. 사람은 물리적인 시간에 구속을 받게 되어 있다. 또한 단순 반복 작업은 오래할 수 없는 특성도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의 움직임을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그런데 그 이상이라면? 그것은 공정표를 보지 않겠다는 의미와 같다는 것이다. "난 1만개, 2만개도 관리해 봤어"라고 말하는 건 자랑이 아니라, 본인 스스로 공정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보지 않았다는 증거를 떠들고 있는 것이다. 아무리 액티비티를 줄이려고 해도 한계는 있다. 3,000개의 액티비티를 하나씩 확인하면서 공정관리를 진행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용어] PERT/CPM

공정관리에 대한 간단한 역사와 정의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중고등학교 교육처럼 역사와 년도 등을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 그러나 간단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 ​ ​1. Pert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1958 년 미해군이 폴라리스잠수함용 미사일의 개발을 관리하기 위해서 부즈알렌앤드해밀턴사가 개발했다고 합니다 .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 ​​PERT 는 액티비티의 작업시간 ( 기간 ) 을 추정하기 위한 기법이라고 이해하세요 . 작업시간 , 즉 Original Duration 은 3 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낙관치 (a), 정상치 (m), 비관치 (b). 이 세가지 값을 이용해서 아래와 같은 수식에 의해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을 산정하는 방식이 바로 PERT 기법입니다 . ​ * PMBOK 5 판까지 ​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 ( a + 4m + b) / 6 ​* PMBOK 6 판 ​ 기대시간 (Original Duration) = ( a + m + b) / 3 ​ ​2. CPM (Critical Path Method) ​​1956 년 Dupont 사와 Remington 사가 Plant 의 설계 및 건설을 위해 공동개발했다고 합니다 . 제가 공부했던 교재에 나와 있던 내용입니다 . ​​ 확정된 공기 (Original Duration) 을 이용해서 작업간의 연관관계를 연결해주고 , 이 연관관계를 전진계산 , 후진계산을 통해 전체여유 (Total Float) 을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여기서 계산된 전체여유 (Total Float) 이 0 보다 작은 경우를 Critical Path 라고 합니다 . ​ 3. PERT/CPM ​​ 즉 , 공기산정은 PERT 기법을 통해서 , 연관관계를 통한 Critical Path 는 CPM 방식을 통해서 하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합쳐서 PERT/CPM 이라고 부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