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7월, 2025의 게시물 표시

[Planning And Scheduling 지침서] 목차

 1.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1.1.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지침서 (이하 PnS 지침서) 1.1.1. PnS지침서 개요 1.1.2. PnS지침서의 목적 1.1.3. PnS지침서 작성 및 배포 목표 1.1.4. PnS지침서의 적용 가능성 1.1.5. PnS지침서의 개정 1.2.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기본 준비 및 가정 1.3.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 범위 및 초점 1.4. Planning and Scheduling(공정관리)에서의 공정표 관리 1.4.1. 공정표의 종류와 이해 i. 입찰공정표 ii. 내부 목표 공정표(Target Schedule) iii. Level 1, 2, 3 공정표 iv. Baseline Schedule(관리기준공정표) v. Update Schedule(관리기준공정표 기준) vi. Revision Schedule(새로운 Baseline) vii. As-Built Schedule(완료공정표) viii. Logic-Linked As-Built Schedule ix. 최종공정표 1.4.2. 프로젝트의 공정표관리 1.4.3. 공정표관리가 필요한 이유 1.4.4. 공정표관리의 개요 1.4.5. 공정표관리의 목적 1.5. Scheduling 방법과 기법   2. CPM 공정관리의 기초, 기본 원칙 및 일반 원칙 2.1. CPM 공정관리의 기본 원리 2.2. Critical Path Method(CPM) – 출처 : PMBOK 2.3. CPM 공정관리의 일반 원칙 a) CPM 계산 사용 b) Datadate 개념 사용 c) Network Float의 소유권 d) Level 4 공정표와 Baseline의 Float 값 e) Critical Activity와 Critical Path Activity f) 준공의 지연은 Critical Path가 지연될 때 g) 준공 지연의 만회는 계획이 아니라 실적으로 판단 h) 준공의 지연...